<

loading

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국민연금을 수령하면서 근로소득이나 사업소득이 발생하면 연금액이 감액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국민연금 감액의 기준과 구체적인 예시, 그리고 감액을 피할 수 있는 방법을 안내합니다.

     

     

     

     

     

     

    1. 국민연금 감액 기준

    국민연금을 수령하는 동안 근로소득이나 사업소득이 발생하면, 해당 소득이 일정 기준을 초과할 경우 연금액이 감액될 수 있습니다. 이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평균소득월액(A값): 최근 3년간 국민연금 전체 가입자의 평균소득월액을 의미하며, 2024년 기준으로 월 2,989,237원입니다.
    • 소득이 있는 업무에 종사: 월평균 소득금액이 A값을 초과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월평균 소득이 3,000,000원인 경우, 이는 2024년 A값인 2,989,237원을 초과하므로 '소득이 있는 업무에 종사'하는 것으로 간주되어 연금액이 감액될 수 있습니다.

     

    2. 연금 감액률 및 예시

    소득이 A값을 초과하는 경우, 초과 소득 구간에 따라 연금액이 감액됩니다. 감액률은 다음과 같습니다:

     

    • 초과 소득이 월 100만 원 미만: 초과 소득의 5% 감액
    • 초과 소득이 월 100만 원 이상 200만 원 미만: 초과 소득의 10% 감액
    • 초과 소득이 월 200만 원 이상 300만 원 미만: 초과 소득의 15% 감액
    • 초과 소득이 월 300만 원 이상 400만 원 미만: 초과 소득의 20% 감액
    • 초과 소득이 월 400만 원 이상: 초과 소득의 25% 감액

    예를 들어, 월평균 소득이 3,500,000원인 경우, A값을 초과하는 소득은 510,763원입니다. 이 초과 소득에 대해 5%의 감액률이 적용되어, 연금액에서 약 25,538원이 감액됩니다.

     

    3. 연금 감액을 피할 수 있는 방법

    연금 감액을 피하거나 최소화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 연금 수령 시기 연기

    연금 수령 시기를 최대 5년까지 연기하면, 연기한 기간만큼 연금액이 증가하며, 이 기간 동안 발생한 소득으로 인한 감액을 피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연금 수령을 5년 연기하면 기본연금액이 36% 증가합니다.

    ✅ 소득 조절

    근로소득이나 사업소득을 A값 이하로 유지하여 연금 감액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소득을 분산하거나 조절하는 방안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 수령 나이: 연령별 연금 수령 시기 및 조건

     

    국민연금 수령 나이: 연령별 연금 수령 시기 및 조건

    국민연금은 출생 연도에 따라 연금 수령 나이가 다릅니다. 정확한 수령 시기를 파악하면 보다 효과적인 노후 준비가 가능합니다. ✅ 국민연금 수령 나이 및 지급 개시 연령✅ 연기연금 및 조기

    happysnoopy.com

    국민연금 인상! 2025년 연금 수령액과 개편 내용 확인

     

    국민연금 인상! 2025년 연금 수령액과 개편 내용 확인

    국민연금 수령액 계산하기 📢 국민연금 인상! 2025년 주요 개편 사항 확인2025년 국민연금 인상이 확정되면서 많은 국민들이 연금 수령액 변화에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국민연금제도는 지속

    happysnoopy.com

     

    반응형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