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oading

티스토리 뷰

자기계발 & 자기관리

돈의 속성

라썸미 2021. 5. 10. 05:34

목차



    반응형

    돈의 속성의 책을 읽게 된 계기는 최상위 부자가 말하는 돈에 대한 모든 것이라는 부제 때문이다.

    별 생각 없이 끌리는 책이라 읽게되었지만, 너무나 얻을 것이 많고 저자의 돈에 대한 사고방식이나 행동방식에 대한 바른 원칙이 돈을 끌어당기는 힘이라는 것을 느끼게 된 책이었다. 기억에 남을 만한 몇 가지 구절들을 소개한다.

     

    p.14> 돈은 법인보다 더 정교하고 구체적인 인격체다. 어떤 돈은 사람과 같이 어울리기 좋아하고 몰려다니며, 어떤 돈은 숨어서 평생을 지내기도 한다. 자기들끼리 주로 가는 곳이 따로 있고 유행에 따라 모이고 흩어진다. 자기를 소중히 여기는 사람에게 붙어있기를 좋아하고, 함부로 대하는 사람에겐 패가망신의 보복을 퍼붓기도 한다. 작은 돈을 함부로 하는 사람에게선 큰돈이 몰려서 떠나고 자신에게 합당한 대우를 하는 사람 곁에서는 자식(이자)을 낳기도 한다.]

     

    p.18> 결국 나보다 훌륭한 경영자에게 투자하는 일은 그들과 동업하는 것과 다름없다. 거기다 그들이 원하지 않아도 언제든 동업이 가능하다. 이제 필요한 건 그 회사의 배당 정책과 배당 비율 그리고 적정 가격대를 찾는 일뿐이다. 나는 되도록 내가 지분을 가진 회사의 물품이나 서비스를 이용한다. 이제 내 회사이기 때문이다.

     

    p.25> 돈도 같다. 현금흐름이 일정하게 유지돼야 경제적으로 삶이 윤택해진다. 돈이 일정하게 들어온다는건 체계화된 경찰이나 군인 수백 명으로 수천, 수만 명의 군중을 효율적으로 통제하는 것과 같다. 이 흐름이 거친 인생을 통제할 수 있는 상태를 만들어 준다.

     

    p.78> 자신이 금융 문맹인지 확인하는 방법. 가산금리, 경기동향지수, 경상수지, 고용률, 고정금리, 고통지수, 골디락스경제, 공공재, 공급탄력성, 공매도, 국가신용등급, 국채, 금본위제, 금산분리, 기업공개, 기준금리, 기축통화. 기회비용, 낙수효과, 단기금융시장, 대외의존도, 대체재, 더블딥, 디커플링, 디플레이션, 레버리지 효과, 만기수익률, 마이크로 크레디트, 매몰비용, 명목금리, 무디스, 물가지수, 뮤추얼 펀드, 뱅크런, 베블런 효과, 변동금리, 보호무역주의, 본원통화, 부가가치, 부채담보부증권, 부채비율, 빅맥지수, 상장지수펀드 ETF, 서킷 브레이커, 선물거래, 소득주도성장, 수요탄력성, 스왑, 스톡옵션, 시뇨리지, 신용경색, 신주인수권부사채 BW, 실질임금, 애그플레이션, 양도성예금증서, 양적완화정책, 어음관리계좌 CMA, 연방준비제도, 연방준비은행, 엥겔의 법칙, 역모기지론, 예대율, 옵션, 외화보유액, 워크아웃, 원금리스크, 유동성, 이중통화채, 자기자본비율, 자발적 실업, 장단기금리차, 장외시장, 전환사채, 정크본드, 제로금리정책, 주가수익률 PER, 주가지수, 조세부담률, 주당순이익 EPS, 중앙은행, 증거금, 지주회사, 추심, 치킨게입, 카르텔, 콜옵션, 통화스왑, 투자은행, 특수목적기구, 파생금융상품, 평가절하, 표면금리, 한계비용, 헤지펀드, 환율조작국,  M&A.

    반응형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