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티스토리 뷰
목차
최근 온라인 육아 커뮤니티에서 한 외국 아동복 브랜드의 한글 디자인이 화제다. 스웨덴 아동복 브랜드에서 한글이 큼지막하게 박힌 상품을 잇달아 출시했기 때문이다.
화려한 패턴으로 국내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스웨덴 아동복 브랜드 ‘미니로디니’는 올해 봄·여름 시즌 컬렉션으로 한글이 쓰인 상품을 출시했다.
해당 상품은 ‘시베리아횡단철도를 탄 미니로디니–종착역:서울’ 컬렉션으로, 한국 민화를 차용한 듯한 호랑이 그림과 함께 브랜드명인 ‘미니로디니’를 한글로 써넣은 디자인이 대표적이다. 또 유니콘 캐릭터가 ‘최고의 국수’라고 쓰인 그릇 속 면발을 젓가락으로 집고 있는 모습을 담은 상품도 있다.
패션업계의 관계자는 8일 “해외 브랜드 입장에서는 한국 시장에 연착륙하려는 전략 차원에서 한글을 활용하는 경우가 있다”며 “그룹 BTS의 노래 등 케이팝을 비롯해 한국 문화가 전 세계에서 인기를 얻으면서 한글이 주목받게 된 측면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몇 해 전부터 글로벌 패션 브랜드에서 한글을 꾸준히 활용하고 있다”며 “아동복의 경우 일반 브랜드의 트렌드를 반년에서 1년 정도 늦게 따라가는 만큼, 이제야 아동복 시장에 한글을 이용한 디자인이 등장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카를 라거펠트 트위터 캡처, 이스트팩 홈페이지 캡처
실제로 한글 활용 디자인은 일상 패션에서는 아직 생소하지만, 여러 글로벌 패션 브랜드는 몇 해 전부터 관련 디자인을 선보이기 시작했다. 특히 패션업계는 2015년 샤넬이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서 개최한 크루즈 패션쇼를 기점으로 한글을 넣은 디자인이 관심 받기 시작한 것으로 본다.
당시 샤넬의 수석 디자이너 카를 라거펠트는 그의 작품에 ‘한국’ ‘서울’ ‘코코’ ‘샤넬’ ‘마드모아젤’ 같은 한글을 새겨 넣었고, 이듬해에는 개인 트위터에 ‘카를 라거펠트’ 매장의 서울 진출을 알리며 ‘나는 한국을 사랑합니다’라고 쓴 이미지를 올리기도 했다.
또한 같은 해 벨기에 유명 패션 디자이너 라프시몬스는 ‘상주곶감’ ‘법성포 굴비’ 등 한글이 쓰인 보자기 원단 가방을 선보였다.
유명 브랜드 아닌 보세 의류에서도 한글 열풍은 시작되고 있다. 최근 중국 전자상거래사이트 타오바오에서 판매하는 보세 의류에 ‘성동일’ 등 한글이 새겨진 것이 국내에 알려져 화제를 모았다.
너무 신기하고 반가운 일이다. 한글 열풍이 명품 분야까지 진출했다니 새삼 한국의 위력이 실감나는 부분이다. 한국의 글로벌화가 이렇게 소소한(소소하지는 않지만) 분야에서부터 확산의 붐을 일으켜서 지속화 될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경제기사 & 최신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즈니+, 올 3분기(9월)에 한국 착륙한다 (0) | 2021.04.12 |
---|---|
코스피 3000에도 물린 개인, 개별 기업 실적 봐야한다! (0) | 2021.04.09 |
삼성전자 국민 10명 중 1명이 보유 (배당일) (0) | 2021.04.09 |
한국 경제규모 세계 10위, 이탈리아 제쳤다! (0) | 2021.04.08 |
워렌 버핏이 비트코인에 투자하지 않는 이유? (0) | 2021.04.08 |
카카오 주가 사상 최고가 경신 (0) | 2021.04.07 |
원달러 환율 하락 (0) | 2021.04.06 |
스타벅스 일회용컵 없앤다! (0) | 2021.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