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oading

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친구에게 인스타그램 릴스를 공유했을 뿐인데, 내 계정 정보가 상대방에게 노출된다면 어떨까요?
    많은 분들이 인지하지 못한 채, 자신도 모르게 계정 추적 코드를 함께 보내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인스타그램 주소에 포함된 ?igsh=파라미터가 무엇인지, 왜 삭제해야 하는지, 그리고 안전하게 공유하는 방법까지 정리해드립니다.

     

     



    1. 인스타그램 주소에 붙는 ?igsh= 란? – 공유자 계정 추적 코드

    인스타그램에서 게시물을 공유할 때 생성되는 주소를 보면 아래와 같은 구조를 가집니다.

    https://instagram.com/reel/CuteAnimalReel123/?igsh=kimsod

    여기서 `?igsh=kimsod`는 무슨 뜻일까요?

    • igsh는 Instagram Share의 줄임말로, ‘누가 공유했는지’를 알려주는 파라미터입니다.
    • kimsod는 해당 콘텐츠를 처음 공유한 사람의 계정 코드입니다.

    즉, 이 주소를 클릭한 사람은 “이 릴스를 공유한 사람의 계정은 kimsod”임을 알 수 있는 것이죠.

     



    2. 공유 주소에 내 정보가 실리는 원리 – URL 파라미터의 비밀

    웹사이트 주소에서 ?추가 정보가 시작되는 지점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쇼핑몰 주소가 아래와 같다면:

    https://shop.com/product/detail?product_no=1027&cate_no=69
    • product_no=1027: 상품 번호
    • cate_no=69: 카테고리 번호

    이처럼 Instagram 주소도 마찬가지입니다.

    https://instagram.com/reel/영상코드/?igsh=계정코드

    즉, 이 주소에는 “이 영상을 공유한 사람의 계정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셈입니다. 상대방은 공유된 링크만 클릭해도 “누가 보냈는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카톡, 블로그, 오픈채팅 공유 시 특히 주의해야 할 부분입니다.

     





    3. 어떻게 공유해야 안전할까? – 꼭 삭제해야 할 부분

    공유할 때는 다음처럼 주소를 **깔끔하게 정리**해 주셔야 합니다.

    잘못된 공유:

    https://instagram.com/reel/CuteAnimalReel123/?igsh=kimsod

    올바른 공유:

    https://instagram.com/reel/CuteAnimalReel123/

    즉, `/?igsh=~` 이하를 삭제하면 됩니다.
    이렇게 하면 상대방은 영상만 볼 수 있고, 누가 보냈는지 알 수 없습니다.

    이건 단순한 기술이 아니라 **개인정보 보호의 기본 습관**입니다.

     



    결론 – 공유 주소에서 계정 추적 코드 꼭 삭제하세요!

    요즘처럼 SNS를 자주 활용하고, 콘텐츠를 서로 공유하는 시대에 이처럼 URL 하나에도 **개인 정보가 담겨 있다는 사실**을 모르면 불이익을 당할 수 있습니다.

    친구에게 영상 공유할 때, 내 계정도 같이 보내고 있었던 것입니다.
    앞으로는 인스타그램 주소를 공유하기 전 꼭 확인하고, `?igsh=~` 이후는 지우고 보내세요.

    특히 오픈채팅, 단체방, 블로그, 익명 게시판에서는 꼭 필수!

     

     

    반응형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