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스피지수가 3000을 돌파한 뒤 주식 시장에 뛰어든 개미가 물린 자금이 30조원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코스피지수의 추가 상승을 기대하고 주식 시장에 새로 발을 들였지만 미 국채 금리가 급등할 것이라고는 예상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유동성 장세에서 실적 장세로 넘어가는 시기에도 포트폴리오 변화없이 성장주 위주로 매수한 개미의 2, 3월 성적표는 '마이너스'인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 발빠르게 포트폴리오를 바꾼 외국인은 박스권 장세에도 일정한 수익을 낸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코스피지수만 바라보기보다는 개별 기업의 실적을 주의깊게 들여다봐고 투자해야 하는 시기가 왔다고 강조했다. ○코스피 3000에 물린 개미들 9일 삼성증권에 따르면 팬데믹 이후 코스피지수가 3000을 돌파한 뒤 유가증권시장서 개인..

삼성전자 투자자가 최근 3개월 사이 200만명 이상 늘면서 주주 500만 시대를 열었다. 우리 국민 10명 중 1명이 삼성전자 주식을 갖고 있는 것이다. 주식 투자에 대한 관심이 부쩍 높아진 가운데 올해 업황 개선과 배당정책 확대 기대감으로 개인투자자들이 코스피 대장주인 삼성전자 주식을 집중적으로 사들인 것으로 보인다. 8일 관련 업계와 증권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주주는 지난달 기준으로 500만명을 넘어섰다. 삼성전자 주주 수는 지난해 말 결산 시점 기준 295만8천여명으로 1년 전보다 5배 가까이 늘어난 데 이어 올들어 석달새 70% 가까이 투자자가 추가 유입됐다. 구체적인 주주현황은 명의개서 대리인인 한국예탁결제원이 연 1회 결산 시점에 한해 공시하고 있다. 삼성전자 주주 수가 급증하고 있는 것은 개..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경제 위기 속에서도 한국의 경제규모가 세계 10위를 기록하며 선방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국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 규모가 처음으로 이탈리아를 제쳤다. 7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1인당 GDP는 3만1497달러로 주요 7개국(G7) 중 하나인 이탈리아의 1인당 GDP 3만1288달러를 근소한 차로 넘어섰다. 한국의 지난해 경제규모는 2019년 12위에서 두 단계 상승한 10위로 올라섰다. 한국 경제규모는 2015년부터 2017년까지 11위를 유지하다가 2018년 10위로 한 계단 상승했고, 2019년 12위로 내려앉았다가, 1년 만에 10위권을 회복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전날 발표한 세계경제전망(World Econom..

최근 온라인 육아 커뮤니티에서 한 외국 아동복 브랜드의 한글 디자인이 화제다. 스웨덴 아동복 브랜드에서 한글이 큼지막하게 박힌 상품을 잇달아 출시했기 때문이다. 화려한 패턴으로 국내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스웨덴 아동복 브랜드 ‘미니로디니’는 올해 봄·여름 시즌 컬렉션으로 한글이 쓰인 상품을 출시했다. 해당 상품은 ‘시베리아횡단철도를 탄 미니로디니–종착역:서울’ 컬렉션으로, 한국 민화를 차용한 듯한 호랑이 그림과 함께 브랜드명인 ‘미니로디니’를 한글로 써넣은 디자인이 대표적이다. 또 유니콘 캐릭터가 ‘최고의 국수’라고 쓰인 그릇 속 면발을 젓가락으로 집고 있는 모습을 담은 상품도 있다. 패션업계의 관계자는 8일 “해외 브랜드 입장에서는 한국 시장에 연착륙하려는 전략 차원에서 한글을 활용하는 경우가 있다”며..

비트코인이 아무리 뛰어도 버핏이 사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 포브스는 그 이유를 3가지로 정리했다. 첫째, 비트코인은 증빙 가치가 없다는 것이다. 버핏은 비트코인은 증빙 가치가 없다고 여긴다. 그는 철저한 가치 투자자로, 항상 시장에서 과소 평가돼 있고,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현금 흐름을 창출하고, 순자산을 늘릴 여력이 있는 기업의 주식을 매입해왔다. 그런 버핏에게 비트코인은, 수익도 배당도 낳지 않고, 게다가 비트코인의 가치는 사람이 거기에 지불해도 상관 없다고 생각하는 금액에 따라 정해진다는 점에서 못 마땅한 것이다. 비트코인은 1637년에 일어난 '튤립 버블(네덜란드에서 튤립 인기가 치솟으면서 알뿌리 가격이 비정상적으로 상승, 이후 하락한 세계 최초의 경제 버블 현상)'과 다를 게 없다. 버핏은 비트..

카카오(035720)가 자회사 상장과 액면분할, 글로벌 웹툰 사업 호조 등 각종 호재 속에 외국인 매수세까지 유입되면서 사상 최고가를 경신했다. 특히 외국인이 하루에만 3,000억 원 넘는 대규모 순매수에 나서면서 주가를 큰 폭으로 끌어올렸다. 이날 외국인은 유가증권시장에서 총 5,709억 원을 순매수했는데 이 중 카카오를 사들인 금액이 3,300억 원에 이른다. 이날 하루 외국인이 카카오를 순매수한 금액은 상장 이후 두 번째로 큰 규모를 기록했다. 분할 후 카카오 가격변동과 카카오뱅크, 페이 등 공모주 청약도 기대된다. 카카오가 한국을 대표하는 IT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길 응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