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티스토리 뷰
목차
연구의 대상은 무궁무진하며, 연구분야 역시 매우 다양.
연구주제 선택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연구자의 직관력, 분석력, 비판력, 창의력
직관력으로 관심있는 사회현상을 통찰하여 어떤 사실을 발견할 수도 있음
분석력으로 특정 사회현상의 원인이 무엇인지 밝힐 수 있음
1. 연구주제
새로운 이론이나 사실을 발견하는 능력 또한 연구자에게 필요한 자질
연구자의 전공분야에 의하여 연구 영역이 결정됨
연구자의 연구 관심에 따라 연구주제가 설정됨
연구자의 축적된 지식에 의하여 내면화된 내용이 연구주제가 되는 것이 바람직
2. 연구주제 선택의 다양한 자원
연구자의 관심과 흥미를 들 수 있다. (혹은 현업에서 하고 있는 분야)
문헌연구다. (논문을 많이 읽고- 최소 3년 이내치 것으로, 전공분야에 관련된 교과서, 전문서적, 학술지 및 기타 인쇄된 모든 매체
공동연구나 연구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것이다.
새로운 학설이나 이론이 연구의 자원이 된다.
학회활동 참여도 연구주제 선택의 자원이다.(각 전공 분야에서 개최되는 국제학술대회 및 국내학술대회, 세미나, 워크숍)
전공과 관련된 사회현상에서의 관찰과 경험을 통하여 연구주제를 설정할 수 있다.
연구영역의 전문가와 교수로부터 연구주제에 대한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다.
3. 연구제목
간결, 명확하게
좋은 논문 제목은 연구 내용을 설명해 줄 수 있도록 분명하고, 구체적이면서, 간결하고, 명확하게 서술되어야 함. 또한, 연구내용을 대표하는 주제어를 포함시켜야 함. 연구 제목에 전문가 집단만이 사용되는 특수용어를 사용하지 말아야 함. 더불어 가치 중립적인 단어를 사용하여야 함. 부제를 원제에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함. -에 관한 연구, -의 실험연구, -방법, -결과 라는 관용구 사용 금지, 연구제목은 15자에서 30자가 적절함
4. 연구목적
집단 비교연구
인과관계 연구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모형 혹은 이론의 구축
'자기계발 & 자기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이어트 시작! (0) | 2021.05.13 |
---|---|
성향 테스트 소개 3(내게 가장 잘 맞는 회사는?) (0) | 2021.05.12 |
성향 테스트 2(내가 만약 대기업이라면 어느 대기업일까 알아보기) (1) | 2021.05.12 |
연구논문 작성하기 (0) | 2021.05.12 |
HBR과 DBR 비교 (예정) (0) | 2021.05.11 |
혁신 관리 1 (0) | 2021.05.11 |
다양한 혁신 (0) | 2021.05.11 |
여러 차원 안에서의 혁신 (0) | 2021.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