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티스토리 뷰
목차
Innovation in Context 1
이 장에서는 혁신의 동적 및 정적 모델을 포함하여 혁신의 다양한 의미와 형식(포맷)을 평가한다.
혁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경제 발전에서 혁신의 역할과 어떻게 설명되었는지를 인식한다.
그리고 혁신의 종류와 정의 등에 대한 이해를 학습한다.
혁신의 중요성 : 지식사회로의 도래, 새로운 지식, 방법과 구조, 신제품 조직의 활성화가 경제적 성장의 잠재적 동인으로 작용, 기업들은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하여 전세계로 서비스하는데 이러한 활동이 기존의 시장을 확대, 소멸시킴, 기술적 진화는 시장 창출 및 파괴를 지속적으로 함으로서 시장을 재성형함, 지식과 학습을 개발하고 활용하는 역량 확대가 중요함.
혁신의 정의 : 여러 관점에서 다양한 의미로 이해할 수 있음, 피터 드러커(혁신은 기업가들이 변화의 개척을 기회로 보는 구체적 사업도구), 투시만 앤 나들러(혁신은 제품, 서비스, 프로세스의 창조)
혁신의 주요 구성 : invention + exploitation (ideation + commercialization) -> 성과
마이클 포터는 혁신 과정은 국가 또는 지역적 관점에 포함되어 개인이나 기업 단위로 취급될 수 없음을 주장(미국의 제조업으로의 회귀를 주장 ex. 셰일가스가 많으므로 에너지가 인건비를 커버함)
창조로서의 혁신(발명) : 새로운 제품, 서비스, 새로운 일을 하는 방법 등
확산 및 학습으로서의 혁신 : 제품, 서비스 또는 아이디어를 획득, 지원 또는 사용하는 데 초점
이벤트로서의 혁신 : 관심의 초점은 단일 제품, 서비스, 아이디어 또는 의사결정의 개발과 같은 개별 이벤트에 있음
궤적으로서의 혁신 : 단일 혁신 행위가 원래의 출처에서 파생되는 일련의 혁신을 유발함
변화로서의 혁신(점진적 또는 급진적) : 혁신은 변화를 일으키는데, 일부는 사소한 조정이지만 다른 혁신은 본질적으로 급진적이거나 불연속적임
(기업 수준의) 프로세스로서의 혁신 : 혁신은 단일 행위가 아니라 결과(혁신)의 생산으로 이어지는 기업이 수행하는 일련의 활동
맥락(지역, 국가 등) 수준의 프로세스로서의 혁신 : 혁신을 개인 또는 기업의 범위를 넘어서는 행위로 간주함
혁신의 정의를 통합, 재해석 한다면, 혁신은 Process와 outcome(output의 경제적 효과)에 고객에게 value-adding하는 행위로, 혁신은 기업이 통제 가능한 내부요인과 통제 불가능한 외부요인의 범위와 요인들을 결합하여 경쟁우위로 변화함
사례 : Apple's iPod :Invention is not everything
완전한 신제품 전체를 invent하는 기업들은 소수로, 대부분 다른 곳에서 시도했던 아이디어를 개조하거나 확장함.
애플의 아이팟도 기존 버전을 충분히 혁신한 것으로, 이동식 음악 산업을 극적으로 변경함(iPod와 iTunes), 급진적 기술의 변화가 아닌 고객을 위한 부가가치의 창조로 설명할 수 있음
혁신은 New to World, Firm, Line extention, Improvement, Repositioning으로 나누어 볼 수 있음
혁신의 포맷(외부 : Social innovation, Philosophical innovation, Political innovation, 내부 : Product innovation, Process innovation, Stragetic innovation)
Product innovation : 고객에게 전달되는 혁신으로 가장 먼저 이루어짐(outcome), 혁신의 산출물은 신제품으로, 제품혁신은 기술 주도 혁신과 시장 주도 혁신이 있음(ex: 타자기에서 워드프로세스, 유니레버 2 in 1 vs P&G의 Wash & Go)
즉, 기술 주도 혁신만으로는 성공 보장을 못하고, 마케팅 혁신도 필요함.
Process innovation : 효율화(비용 줄임)라고도 하며, 기업의 조직 활동 수행 방식의 변화를 주는 것으로, 기술적 진보의 결과 또는 새로운 구조적 또는 운영적 구성의 결과임. 기술적 프로세스 혁신은 제조 운영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거나 제품을 향상시킴(ex: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의 혁신은 가격하락과 전자부문의 붐을 일으킴) 경영 혁신은 조직을 구성하고 운영하는 새로운 방법으로 포드가 대량 생산 조립 라인을 개발하여 생산 시스템에 혁명을 일으킨 것, 도요타 생산 시스템, JIT, Kanban, Poka-Yoke, Udevella 등을 사례로 들 수 있음
Stragetic innovation : 전략적 혁신은 비즈니스 모델의 상당한 변화 또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의 도입임. 전략적 혁신은 제품, 프로세스 혁신에 따른 내부 발생 혁신 또는 외부적 혁신과 도전에 기인한 혁신(ex: IT를 통한 e-business)로, 기술적 혁신에 의해서만 주도된 것이 아님(ex: P&G와 Gillette의 합병은 외부의 공급망 전환 전략에 대응한 전략적 혁신, 소매대기업에 대응하기 위해 제조업인 P&G가 브랜드 포트폴리오 강화 전략을 이용) 외부 전략적 혁신으로는 합병, 다각화, 통합화 등이 있음
'자기계발 & 자기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구주제 설정하기 (0) | 2021.05.11 |
---|---|
HBR과 DBR 비교 (예정) (0) | 2021.05.11 |
혁신 관리 1 (0) | 2021.05.11 |
다양한 혁신 (0) | 2021.05.11 |
혁신경영 소개 (0) | 2021.05.11 |
MOT 준비과정 (0) | 2021.05.11 |
MOT란 무엇인가 (0) | 2021.05.11 |
메타버스 관련 산업 소개 (0) | 2021.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