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oading

티스토리 뷰

자기계발 & 자기관리

혁신 관리 2

라썸미 2021. 6. 21. 07:22

목차



    반응형

    (학습목표)

    혁신을 위한 역량의 육성이 중요함을 이해, 혁신을 위한 주요 전략적 질문을 이해, 혁신을 위한 기본전략적 방향을 이해, 서로 다른 혁신 전략 간의 상호 연계를 이해, 다양한 혁신 전략의 장점과 한계를 인지, 혁신에 있어서 지배적인 디자인을 확보함의 중요성을 이해, 진입 시기를 혁신 전략의 중요한 결정 요인으로 인식, 혁신을 위한 다양한 유형의 공격과 방어 전략을 이해

     

    선두전략 대 추종 전략

    일반적으로 선두전략이나 추종전략은 장기적 경쟁우위를 성공적으로 이끌 수 있으며, 전략의 선택은 상대적 유리함과 불리함에 대한 평가가 중요한데, 시장이 리더 지위의 지속 가능성(모방의 어려움, 빠른 혁신성, 특허·영업비밀·제품프로토타입 자체개발·경쟁자의 민감한 부분 수직통합·개선된 인사정책과 혁신보상시스템), 얼리어답터의 특성과 니즈 확인 가능, 사회경제동향, 신흥시장의 특성과 영향 변화 예측가능, 수평적 대안과 대체기술이 가능할 때)게임의 룰 지배력(장기적 브랜드 로열티로 전환 가능한 품질과 서비스에 대한 평판, 가장 매력적인 시장 세분화에서 선점, 고객의 소리 높은 공유, 시장 채널 선택 자유, 제조에서 기술과 경험, 범주/표준의 사실상 정의) 인 경우 선도전략 채택

     

    선도자에게 이점 빈약한 지적 재산 소유한 산업, 기술적으로 상호 의존적인 산업, 높은 시장 및 기술 불확실성을 가진 산업, 급속한 기술 변화를 겪은 산업, 급속한 정보 흐름을 가진 산업

    선도자의 방어전략 Robertson and Gatignon(1981) : 공격과 보복전략, 신규진입의 협력과 수용, 시장의 포기

     

    기술 라이프 사이클에 따른 경쟁의 특성에서, 초기에는 기술적 불연속성이 낮을 때 다양성의 수준 또한 낮으며 초기에는 대체 분야로 특정된다. 기술적 불연속성이 급속하게 높아지면서 다양성의 수준이 정점에 이르고 디자인 경쟁 분야로 특정된다. 정점에서 지배적 디자인이 출현하고, 이후 부터는 시간에 따라 다양성의 수준이 점차 감소하고 이것은 점진적 변화의 분야라고 할 수 있다.

     

     

    반응형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