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티스토리 뷰
목차
(학습목표)
기술생명주기에 따른 전략을 이해, 특정 기술, 기술의 전략적 관리 절차에 대한 이해, 기술 전략을 수립하고 구현하기 위한 이슈, 도구, 기법 등을 이해, 기술투자 결정 요인에 대한 이해, 기술보호 전략에 대한 이해
기술은 전 세계 소비자에게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근본적으로 사업을 수행하는 방식에 변화를 초래하여 비즈니스 조직 자체 형태를 만듦, 급진적 혁신은 도전적인 경쟁의 균형과 규칙을 재정의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함, 기술은 인간이 근본적(경제적)으로 나아가는 일정한 힘, 기술은 특정 제품, 과학, 프로세스를 가리키며 넓게는 지식과 기술의 사용을 말함, 새로운 제품, 개선된 제품 프로세스와 서비스를 만들기 위한 방법의 능력, 제품기술, 공정기술, 디자인 기술 등이 있음, 기업의 핵심능력 = 기술(고객과의 communication), 기술은 현재와 미래에 상품과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기업의 핵심능력(고객과의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최종 목표는 고객의 제품요구, 조직의 경영요구, 과정 또는 성능요구를 충족하는 것 기술이 기업에 영향을 미치는 3가지 핵심 영역 (1) 제품 – 제품에 내재된 아이디어와 지식의 집합, 제품 차별화에 기반 2) 처리 - 제조와 운반 과정에 관련된 아이디어와 지식 집합, 3) 관리 – 제품의 계획, 통제, 마케팅에 사용되는 아이디어와 지식의 집합
Technology life cycle
기술은 일반적으로 S-curve를 따르는 패턴의 형태로 성장 및 진화, S-curve는 기술생명주기를 설명하는데 사용함(판매량, 기술성과, 기술수준 또한 S-curve로 나타남), 일반-응용-생산-기술성숙의 단계
· Generic research – 새로운 기술의 도입단계에서 상당한 사전 투자가 필요함, 현재 기술의 패러다임이 근본적으로 발생하는 단계, 불확실성 및 위험이 크기 때문에 미래의 기술적 예측을 위해 포괄적 조사, 정부의 공공 자금을 통해 기반기술을 연구하는 것이 전략적으로 필요
· Applied R&D – Generic technology research에서 발생한 새로운 기술을 이용하여 새로운 제품, 서비스 등을 개념화 하는 단계(상품화를 위한 준비단계), 시험과 기술 오류 개선을 포함, 기술을 더 명확히 하기 위해 투자가 이루어지고 불확실성 및 위험이 감소(기술을 눈에 볼 수 있어서)
· Production scale-up – 기술과 기술 활용에 대한 전략이 실행되는 단계, 시장성이 있는 제품의 초기 버전 출시, 기술의 상업화가 되는 출발 지점
· Technological maturity – 새로운 discontinuity가 시작됨, 기술이 폭 넓게 이해되고 경쟁자들이 동일 제품을 개발하여 활용을 시작, 기술활용 측면에서 한계에 다다르며 수익과 기술적 개선이 감소, 기업은 새로운 연구와 기술을 찾고 다음 경쟁 우위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 새로운 기술 패러다임이 일어나는 시작점이 됨
· Emerging Technology(출현) – 현재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킬 엄청난 영향력을 잠재적으로 지님(Monitor carefully)
· Pacing Technology(속도조절) – 기술 경쟁의 기반을 바꿀 수 있는 잠재성을 가짐(Invest selectively)
· Key Technology(핵심기술) – 제품과 프로세스에 기술이 내재되어짐, 차별화를 구축하는 기반(Build and control systematically)
· Base Technology(기반기술) – 필수적이지만 모든 경쟁자들이 접근 가능(Divest selectively)
· 개발 단계 진입 – 개발 전략은 기본연구개발의 수행에 기반, 최초 진입자가 부족함, 이 전략의 마지막 산출물에 대한 투자 시점 결정이 쉽지 않음(기본연구개발의 결과가 상업적 성과를 이끌어낼 수 있을지 모르기 때문), 일반적으로 충분한 자금력과 강한 과학기술 역량 필요, 충분한 과학적 자원을 보유한 선진국에 있는 기업에게는 적합
전략적 기술 관리
기술의 전략적 관리는 기술을 활용하기 위한 전통적인 연구개발의 실패에서 출발, 전통적 연구개발 방법은 외부기술 흡수 및 새로운 기술 구현에 매우 취약(새로운 기술적 지식을 내부 생산에 초점을 맞춤), 새로운 기술적 지식은 내부 만이 아니라 외부로부터 획득 가능, 결론적으로 기술전략은 획득과 관리 및 활용에 대한 전략, 전략적 기술관리는 기술계획과 경영계획 간의 연계성 개발, 단기적 관점과 장기적 관점에서의 투자 가치 평가에 대한 간극 해결을 목표로 함
'자기계발 & 자기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달라진 사무실 풍경: 기술이 업무 환경의 혁신을 이끈다 (0) | 2021.08.13 |
---|---|
MZ세대가 보상에 예민한 이유 (0) | 2021.07.07 |
My fashion style (0) | 2021.06.26 |
스타트업 CEO 107명 ‘MBTI’ 분석해봤더니… ‘ENTJ’가 대세 (0) | 2021.06.25 |
혁신 관리 2 (0) | 2021.06.21 |
변하지 않는 협상의 본질 3가지 (0) | 2021.06.20 |
스타트업의 정부 연구비 수주가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 (0) | 2021.06.20 |
하버드 머스트 리드 비즈니스 모델 혁신 (0) | 2021.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