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티스토리 뷰
목차
연말정산 잘 하는 방법 꿀팁
2025년 달라진 연말정산 공제 혜택 2025년 달라진 연말정산 공제 혜택1. 세액공제 한도 확대(1) 결혼 세액공제 신설혜택: 혼인신고를 한 부부에게 최대 100만 원 공제.대상: 초혼·재혼 여부, 나이에
happysnoopy.com
연말정산 시기를 맞이해서 소득공제와 세액공제의 차이에 대해 알고 싶은 분들 많으실 겁니다. 오늘은 소득공제와 세액공제의 차이에 대해 살펴보고자 합니다.
1. 소득공제
세금은 내가 번 돈인 소득을 기반으로 매겨집니다. 이러한 소득에는 월급, 상여금 등 경제활동을 통해 받은 모든 돈이 포함됩니다.
당연히 소득이 많을수록 매겨지는 세금 비율도 높은데요. 그래서 소득을 줄이는 것이 연말정산에서 중요 포인트 중 하나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소득공제는 살아가는 데 있어서 필요한 경비를 소득에서 빼줘서 세금이 낮게 매겨지도록 해 주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신용카드 및 체크카드 사용내역과 현금영수증으로 처리된 비용을 소득에서 빼주는 것입니다.
2. 과세표준
그런데 소득이 얼마인지에 따라 세금이 매겨지는 비율이 다릅니다. 예를 들어 올해 총소득이 4,600만원인 사람은 소득의 15%를 세금으로 내게 됩니다. 반면 4,800만원인 사람은 4600만원까지는 15%를 세금으로 내지만 나머지 200만원에 대해서는 24%를 세금으로 냅니다.
이렇게 소득별로 세금의 비율을 결정하는 기준을 과세표준이라고 하며. 우리나라의 과세표준은 다음과 같이 책정됩니다.
내 소득이 과세표준과 가깝다면 소득공제를 이용해 기준점 아래로 내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왜냐하면, 몇만 원의 소득 차이가 몇십만 원의 세금 차이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3. 세액공제
소득공제를 통해서 소득을 줄였으면 결정된 소득에 따라 세금이 매겨지고 여기에서 세액공제의 개념이 시작됩니다. 세액공제란 나에게 부여된 세금 중에서 일부를 깎아주는 것인데요. 월세, 의료비, 연금, 교육비 등 세액공제에 포함되는 항목에서 소비를 했을 때 그 금액에 따라 부과된 세금을 돌려주는 것이죠.
4. 소득공제와 세액공제 유리한 것
소득공제와 세액공제 중 무엇을 선택해야 유리할까요? 정답은 소득공제와 세액공제 무엇도 하나 빠지지 않고 돌려받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둘 중 하나만 치중해야 한다면, 우선 자신의 소득부터 확인해봐야 합니다.
- 소득이 높다면 : 소득공제
소득에 따라 세금 비율이 점점 높아집니다. 소득공제를 통해 총소득을 낮추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즉, 과세표준을 잘 확인해서 세금 비율을 최대한 낮춰보시기 바랍니다.
- 소득이 과세표준에 걸친다면: 소득공제
조금만 줄이면 세금이 확 줄어들 수 있습니다. 먼저 소득공제를 신경 써야 합니다.
- 위에 두 가지 다 해당이 안 된다면 : 세액공제
소득공제를 통해 소득에 대한 세금 비율을 줄인 후에 세액공제에 신경쓰는 것이 좋습니다.
이제 소득공제와 세액공제의 차이와 연말정산 시 대비사항에 대해 이해하셨나요? 작은 대비가 큰 차이가 나는 만큼 맞춰서 준비 하시기 바랒니다.
'청년 재테크 & 절세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말정산 청약저축 소득공제 신청방법, 신청대상 총정리 (0) | 2025.01.25 |
---|---|
연말정산 간소화서비스 누락 해결법 정리 (0) | 2025.01.24 |
연말정산 세액공제 항목 완벽 가이드 (0) | 2025.01.24 |
연말정산 소득공제 항목 완벽 가이드 (0) | 2025.01.24 |
중도퇴사자 연말정산 신청시기, 신청방법 정리 (0) | 2025.01.20 |
연말정산 중소기업 취업자 소득공제 감면 지원대상, 신청방법, 신청기간, 지원한도, 경정청구 (0) | 2025.01.16 |
2024년도 국세청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오픈!, 바뀐 점, 조회기간, 주의사항 (0) | 2025.01.16 |
국세청 부가가치세 신고란? (0) | 2025.01.12 |